딥러닝 모델을 '블랙 박스' 같다고 자주 이야기합니다. 학습된 표현에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를 뽑아내거나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일부 딥러닝 모델에서는 이 말이 어느정도 맞지만 컨브넷에서는 전혀 아닙니다. 컨브넷의 표현은 시각적인 개념을 학습한 것이기 때문에 시각화하기 아주 좋습니다. 2013년부터 이런 표현들을 시각화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었습니다. 여기서 모두를 다룰 수는 없지만 가장 사용이 편하고 유용한 세 가지 기법을 다루겠습니다.
- 컨브넷 중간 층의 출력(중간 층에 있는 활성화)을 시각화하기 : 연속된 컨브넷층이 입력을 어떻게 변형시키는지 이해하고 개별적인 컨브넷 필터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컨브넷 필터를 시각화하기 : 컨브넷의 필터가 찾으려는 시각적인 패턴과 개념이 무엇인지 상세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클래스 활성화에 대한 히트맵을 이미지에 시각화하기 : 이미지의 어느 부분이 주어진 클래스에 속하는 데 기여했는지 이해하고 이미지에서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첫 번째 방법인 활성화 출력을 시각화하는 기법을 위해서 5.2절에 있는 강아지 vs. 고양이 분류 문제에서 처음부터 훈련시킨 작은 컨브넷을 사용하겠습니다. 다른 두 가지 방법을 위해서는 5.3절에 소개된 VGG16 모델을 사용하겠습니다.
중간 층의 활성화 시각화하기
중간 층의 활성화 시각화는 어떤 입력이 주어졌을 때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합성곱과 풀링 층이 출력하는 특성 맵을 그리는 것입니다(층의 출력이 활성화 함수의 출력이라서 종종 활성화(activation)라고 부릅니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에의해 학습된 필터들이 어떻게 입력을 분해하는지 보여줍니다. 넓이, 높이, 깊이(채널)의 세 개 차원에 대해 특성 맵을 시각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채널은 비교적 독립적인 특성을 인코딩하므로 특성 맵의 각 채널 내용을 독립적인 2D 이미지로 그리는 것이 괜찮은 방법입니다. 5.2절에서 저장했던 모델을 로드하여 시작해 보죠:
from keras.models import load_model
model = load_model('./data/cats_and_dogs_small_1.h5')
model.summary()
그다음 네트워크를 훈련할 때 사용했던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고양이 사진 하나를 입력 이미지로 선택합니다:
img_path = r'D:\ai_dataset\tf_Vision_cats_and_dogs_small\small\test\cats\cat.1700.jpg'
# base_dir = 'D:/ai_dataset/tf_Vision_cats_and_dogs_small/small'
# 이미지를 4D 텐서로 변경합니다
from keras.preprocessing import image
import numpy as np
img = image.load_img(img_path, target_size=(150, 150))
img_tensor = image.img_to_array(img)
img_tensor = np.expand_dims(img_tensor, axis=0)
# 모델이 훈련될 때 입력에 적용한 전처리 방식을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img_tensor /= 255.
# 이미지 텐서의 크기는 (1, 150, 150, 3)입니다
print(img_tensor.shape)
사진을 출력해 보죠: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imshow(img_tensor[0])
plt.show()
확인하고 싶은 특성 맵을 추출하기 위해 이미지 배치를 입력으로 받아 모든 합성곱과 풀링 층의 활성화를 출력하는 케라스 모델을 만들 것입니다. 이를 위해 케라스의 Model 클래스를 사용하겠습니다. 모델 인스턴스를 만들 때 두 개의 매개변수가 필요합니다. 입력 텐서(또는 입력 텐서의 리스트)와 출력 텐서(또는 출력 텐서의 리스트)입니다. 반환되는 객체는 Sequential과 같은 케라스 모델이지만 특정 입력과 특정 출력을 매핑합니다. Model 클래스를 사용하면 Sequential과는 달리 여러 개의 출력을 가진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Model 클래스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7.1절을 참고하세요.
from keras import models
# 상위 8개 층의 출력을 추출합니다:
layer_outputs = [layer.output for layer in model.layers[:8]]
# 입력에 대해 8개 층의 출력을 반환하는 모델을 만듭니다:
activation_model = models.Model(inputs=model.input, outputs=layer_outputs)
입력 이미지가 주입될 때 이 모델은 원본 모델의 활성화 값을 반환합니다. 이 모델이 이 책에서는 처음 나오는 다중 출력 모델입니다. 지금까지 본 모델은 정확히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만을 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델은 몇 개의 입력과 출력이라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하나의 입력과 층의 활성화마다 하나씩 총 8개의 출력을 가집니다.
# 층의 활성화마다 하나씩 8개의 넘파이 배열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activations = activation_model.predict(img_tensor)
예를 들어 다음이 고양이 이미지에 대한 첫 번째 합성곱 층의 활성화 값입니다:
first_layer_activation = activations[0]
print(first_layer_activation.shape)
#(1, 148, 148, 32)
32개의 채널을 가진 148 × 148 크기의 특성 맵입니다. 원본 모델의 첫 번째 층의 활성화 중에서 스무 번째 채널을 그려 보겠습니다:
plt.matshow(first_layer_activation[0, :, :, 19], cmap='viridis')
plt.show()
이 채널은 '밝은 녹색 점'을 감지하는 것 같아 고양이 눈을 인코딩하기 좋습니다. 이제 네트워크의 모든 활성화를 시각화해 보겠습니다. 8개의 활성화 맵에서 추출한 모든 채널을 그리기 위해 하나의 큰 이미지 텐서에 추출한 결과를 나란히 쌓겠습니다.
# 층의 이름을 그래프 제목으로 사용합니다
layer_names = []
for layer in model.layers[:8]:
layer_names.append(layer.name)
images_per_row = 16
# 특성 맵을 그립니다
for layer_name, layer_activation in zip(layer_names, activations):
# 특성 맵에 있는 특성의 수
n_features = layer_activation.shape[-1]
# 특성 맵의 크기는 (1, size, size, n_features)입니다
size = layer_activation.shape[1]
# 활성화 채널을 위한 그리드 크기를 구합니다
n_cols = n_features // images_per_row
display_grid = np.zeros((size * n_cols, images_per_row * size))
# 각 활성화를 하나의 큰 그리드에 채웁니다
for col in range(n_cols):
for row in range(images_per_row):
channel_image = layer_activation[0,
:, :,
col * images_per_row + row]
# 그래프로 나타내기 좋게 특성을 처리합니다
channel_image -= channel_image.mean()
channel_image /= channel_image.std()
channel_image *= 64
channel_image += 128
channel_image = np.clip(channel_image, 0, 255).astype('uint8')
display_grid[col * size : (col + 1) * size,
row * size : (row + 1) * size] = channel_image
# 그리드를 출력합니다
scale = 1. / size
plt.figure(figsize=(scale * display_grid.shape[1],
scale * display_grid.shape[0]))
plt.title(layer_name)
plt.grid(False)
plt.imshow(display_grid, aspect='auto', cmap='viridis')
plt.show()
몇 가지 주목할 내용이 있습니다:
- 첫 번째 층은 여러 종류의 에지 감지기를 모아 놓은 것 같습니다. 이 단계의 활성화에는 초기 사진에 있는 거의 모든 정보가 유지됩니다.
- 상위 층으로 갈수록 활성화는 점점 더 추상적으로 되고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워집니다. '고양이 귀'와 '고양이 눈'과 같이 고수준의 개념을 인코딩하기 시작합니다. 상위 층의 표현은 이미지의 시각적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점점 줄어들고 이미지의 클래스에 관한 정보가 점점 증가합니다.
- 비어 있는 활성화가 층이 깊어짐에 따라 늘어납니다. 첫 번째 층에서는 모든 필터가 입력 이미지에 활성화되었지만 층을 올라가면서 활성화되지 않는 필터들이 생깁니다. 필터에 인코딩된 패턴이 입력 이미지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입니다.심층 신경망이 학습한 표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을 조금 전 확인했습니다. 층에서 추출한 특성은 층의 깊이를 따라 점점 더 추상적이 됩니다. 높은 층의 활성화는 특정 입력에 관한 시각적 정보가 점점 줄어들고 타깃에 관한 정보(이 경우에는 강아지 또는 고양이 이미지의 클래스)가 점점 더 증가합니다. 심층 신경망은 입력되는 원본 데이터(여기서는 RGB 포맷의 사진)에 대한 정보 정제 파이프라인처럼 작동합니다. 반복적인 변환을 통해 관계없는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에 있는 특정 요소)를 걸러내고 유용한 정보는 강조되고 개선됩니다(여기에서는 이미지의 클래스).
- 사람과 동물이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이 이와 비슷합니다. 사람은 몇 초동안 한 장면을 보고 난 후에 그 안에 있었던 추상적인 물체(자전거, 나무)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물체의 구체적인 모양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사실 기억을 더듬어 일반적인 자전거를 그려보면 평생 수천 개의 자전거를 보았더라도 조금이라도 비슷하게 그릴 수 없습니다. 실제로 한 번 해보면 진짜 그런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시각적 입력에서 관련성이 적은 요소를 필터링하여 고수준의 개념으로 변환합니다. 이렇게 완전히 추상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눈으로 본 것을 자세히 기억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Lecture AI > 5장.컴퓨터 비전을 위한 딥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사전 훈련된 컨브넷 사용하기 (0) | 2021.08.18 |
---|---|
3. 소규모 데이터셋에서 밑바닥부터 컨브넷을 훈련하기 (0) | 2021.08.11 |
2. 합성곱 연산의 방법 (0) | 2021.08.07 |
1.합성곱 신경망 소개 (0) | 2021.08.06 |